티스토리 뷰
역류성 식도염은 위의 위산 혹은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여 식도의 염증이 생기고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다양한 불편감이나 증상들을 총칭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식도염은 비만, 흡연, 음주 등의 악화요인으로 더욱 심하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상적인 경우에는 위 식도 경계 부분이 닫혀있고, 위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지 않지만 괄약근이 갸약해져 조절 기능이 저하되면 경계 부분이 완전히 닫히지 않아서 식도로 역류하게 되고 다양한 증세를 유발합니다. 이런 증상이 지속되면 만성적으로 역류가 되면서 위산 때문에 식도염이 발병하게 됩니다.
일반적은 증상은 신물이 올라와 역류하고 있다는 것을 확실하게 느낄 수 있으나, 이 밖에도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전혀 다른 증상이 나타나 ‘역류성 식도염’을 인지하지 못하고 오해하는 경우들도 있습니다. 특별한 느낌이 없을 수도 있으나 보통은 강한 산성의 위액이 역류하여 식도를 자극합니다. 그러면서 목부터 가슴까지 타들어가는 듯한 작열감이 들고, 가슴이 답답하여 호흡곤란까지 생기기도 합니다. 심할 때는 통증이 생기기도 하고 심장이 빨리 뛰며, 공화장애 증상이나 불면증이 생기기도 합니다.
식사를 하고 난 뒤에 한동안 트림이 나고 트림과 함께 음식물이 역류하며, 음식을 삼키기 힘들어 지기도 합니다. 침을 자주 삼키게 되고, 구내염이 지속되고 목에 이물감이 생깁니다. 그러면서 기침을 자주 하게되고 역류하는 내용물로 인하여 구강 내에 쓴맛이 계속 남아있기도 합니다. 또한 목, 가슴이 답답하고 위산이나 음식물이 목 내부를 간지럽혀서 잦은 기침이 나옵니다. 감기가 아닌데도 기침이 지속된다면 역류성식도염이 아닌지 의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기침은 저녁 시간에 더 심해지고, 저녁에 갑자기 흉통을 호소하며, 목에 가래가 없는데도 이물감이 심하게 든다면 영통 역류성식도염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이 밖에도 쉰 목 소리, 물을 마실 때 사례가 자주 걸리는 증상, 배꼽 위의 통증, 흉통, 겨드랑이 통증, 방사통 등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누웠을 때나 취침할 때 흉통이 심해지고 이로 인하여 숙면을 취하기 힘들어지기도 합니다. 음식을 섭취하면 증상이 괜찮아 지다가도 다시 심해지고, 위산이 역류하여 코에서 악취가 나기도 합니다. 배에서 가슴까지 저릿저릿하고 침이 많이 고이는 증상도 역류성 식도염의 증상입니다.
해당 질환은 상대적으로 흔한 질환으로 특별한 검사를 하지 않아도 증상만으로도 진단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증상이 애매할 경우 진단이 잘 되지 않고, 해당 질환을 치료하는 과정을 거쳤는데도 호전이 되지 않는다면 검사가 필요합니다. 역류성 식도염 발병은 곧바로 치료가 이루어져야 하지만 일반적으로 건강한 경우라면 생활 습관을 개선하는 것만으로도 증상이 호전될 수 있습니다.
영통 역류성식도염 적절한 치료와 함께 생활 습관을 개선하시길 바랍니다. 식후 3시간 내에는 누우는 것을 피해야 합니다. 하지만 개인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음식 섭취량이나 개인의 소화 능력, 어떤 음식을 먹었는지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튀김류 등 소화가 잘 되지 않는 음식을 소화하려면 4시간 이상 소요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수면 중에는 왼쪽으로 눕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위가 신체의 중심에서 왼쪽에 위치하므르 상대적으로 역류가 적이집니다. 그리고 잠을 잘 때 상체를 약간 높이는 것도 좋습니다. 평평한 곳에 누우면 복압이 높아지기 때문에 하부식도의 괄약근이 받는 압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괄약근이 이완되어 위액이 역류하기 쉬워집니다. 따라서 상체를 높여주어 복압을 낮추고 위액이 역류되지 않도록 방지합니다.
이 외에도 과식을 삼가고, 조인은 옷을 피하고, 소화가 잘 되는 음식을 먹고, 술이나 담배를 피해야 합니다. 커피, 초콜렛, 탄산음료, 기름진 음식, 산도가 높은 과일이나 주스 등을 피해야 하고, 비만은 복압을 높이므로 다이어트도 좋은 방법입니다. 영통 역류성식도염 체질에 따라서 개선하고 생활 습관을 변화하여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습니다.